참된 운치 참된 운치 淸閑無事, 坐臥隨心, 雖粗衣淡食, 自有一段眞趣. 紛擾不寧, 憂患纏身, 雖錦衣厚味, 只覺萬狀愁苦. 《醉古堂劍掃》 맑고도 한가로와 일이 없어 마음 내키는대로 앉아도 보고 눕기도 하니, 비록 거친 옷 담백한 음식이라도 절로 얼마간 참된 운치가 있다. 이런 저런 일 때문에 편.. [좋은글 (15)]/˚♡。─-아침명상 2014.04.13
[아침명상] 정좌(靜坐) 정좌(靜坐) 日間多靜坐, 則夜夢不惊; 一月多靜坐, 則文思便逸. 《幽夢續影》 대낮에 한참동안 고요히 앉아 있으면 밤에 꿈자리가 사납지 않다. 한달 동안 많이 고요하게 앉았노라면 문사(文思)가 문득 표일해진다. 고요히 앉아 마음을 낮게 가라앉히면 잡스런 속념들이 사라져 버린다.. [좋은글 (15)]/˚♡。─-아침명상 2014.04.13
호연지기 호연지기 士大夫心事, 當與光風霽月, 無纖毫菑翳. 凡愧天怍人之事, 截然不犯. 사대부심사, 당여광풍제월, 무섬호치예. 범괴천작인지사, 절연불범. 自然心廣體胖, 有浩然之氣. 若於尺布銖貨, 瞥有負心之事, 卽是氣餒敗. 자연심광체반, 유호연지기. 약어척포수화, 별유.. [좋은글 (15)]/˚♡。─-아침명상 2014.04.10
검신(檢身) 검신(檢身) 見己之過, 不見人之過, 君子也; 見人之過, 不見己之過, 견기지과, 불견인지과, 군자야; 견인지과, 불견기지과, 小人也. 檢身苟誠矣, 己之過日見於前, 烏暇察人之過. 소인야. 검신구성의, 기지과일견어전, 오가찰인지과. 察人之過, 檢身不誠者也. 己過則恕, 人過則知. 己過則Ü.. [좋은글 (15)]/˚♡。─-아침명상 2014.04.09
마음의 여백이 소중한 이유 마음의 여백이 소중한 이유 사랑의 체험은 남의 말을 듣기 위해 필요하고 고통의 체험은 그 말의 깊이를 느끼기 위해 필요합니다. 한 곡의 노래가 울리기 위해서도 우리 마음속엔 그 노래가 울릴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 질투, 이기심, 같은 것으로 꽉 채워져 있는 마음속엔 아름다.. [좋은글 (15)]/˚♡。---좋은생각 2014.04.08
심신과 사물 심신과 사물 置身於虛, 游心於曠, 則身安而心泰. 치신어허, 유심어광, 칙신안이심태. 馭物以靜, 涖事以簡, 則物平而事定. -「質言」 어물이정, 리사이간, 칙물평이사정. -「질언」 텅 빈 곳에 몸을 두고, 툭 터진 데 마음을 노닐면, 몸이 편안하고 마음이 넉넉해진다. 고요로써 사물을 .. [좋은글 (15)]/˚♡。─-아침명상 2014.03.31
비교의 기준 비교의 기준 飮食衣服輿馬居處, 下比. 德行言語文學政事, 上比. -「質言」 음식의복여마거처, 하비. 덕행언어문학정사, 상비. -「질언」 음식이나 의복, 수레와 말, 거처는 저만 못한 쪽과 견주고, 덕행과 언어, 문학과 정사는 나은 쪽과 견준다. 자료출처 鄭 珉 한문학 목구멍만 넘어가면 .. [좋은글 (15)]/˚♡。─-아침명상 2014.03.31
근원과 흐름 근원과 흐름 小德徵其源, 大德徵其流. -「醒言」 소덕징기원, 대덕징기류. -「성언」 작은 일에서 그 근원이 드러나고, 큰 일에서 그 흐름이 밝혀진다. 자료출처 鄭 珉 한문학 일상의 사소한 범절에서 그 사람의 본바탕이 드러난다. 큰 일에 닥치면 그 그릇을 알 수 있다. 몸가짐을 함부로 .. [좋은글 (15)]/˚♡。─-아침명상 2014.03.31
사람 냄새가 그리운 날은 사람 냄새가 그리운 날은 꽃마다 향기가 있듯 사람도 향기가 있다 어떤 이는 낙엽 따는 냄새가 나고 어떤 이는 누룽지의 구수함이 배여 있고 어떤 이는 너그러운 웃음이 배여 있지 스쳐 지나쳐도 꽃향기가 배인 사람 처다만 봐도 호수가 느끼고 처음 만난 사람인데 남같이 않은 사람 내 .. [좋은글 (15)]/˚♡。---좋은생각 2014.03.14
자재(自在) 자재(自在) 使夫子雖不幸不得托棟樑舟檝之用 亦自在深山大壑而已 사부자수불행불득탁동량주즙지용 역자재심산대학이이 昻宵偃仆 一任風露之生成 孰肯芽茁糞壤之間 앙소언부 일임풍로지생성 숙긍아줄분양지간 與莪蒿占高下枯菀哉 夫然則不但蒿不可爲 莪亦不足尙已 여아.. [좋은글 (15)]/˚♡。─-아침명상 2014.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