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통] 한비자의 팔간과 오두 오두 나무를 갉아 먹는 다섯가지의 해충을 뜻하는 것으로 나라를 좀 먹는 인간을 말함. 유학자 유세객 협객 군주의 측근 장사치와 장인 [시와문학 (15)]/˚♡。--- 고전소통 2024.02.16
[고전소통] 한비자의 팔간 (8) 사방 군주는 나라가 작으면 대국에 굴복하고 병력이 약하면 강국을 두려워한다. 간신은 이를 이용하여 세금을 무겁게 하고 국고를 낭비하여 자국의 사정을 어렵게 해 대국을 섬기도록 하고 그 사이에 자기 권세를 키우고 자기 군주를 자기 생각에 따르게 한다. [시와문학 (15)]/˚♡。--- 고전소통 2024.01.28
[고전소통] 한비자의 팔간 (7) 위강 간신은 검객과 수사를 모아 그 위력을 드러내어 자신과 한편이 되면 이롭고 자기편이 되지 않으면 죽음을 당할 것이라 위협한다. 이렇게 신하와 백성들로 하여금 군주가 아닌 자신의 편이 되도록 만들어 세력을 키워 군주의 권력을 넘보는 것이다. [시와문학 (15)]/˚♡。--- 고전소통 2024.01.28
[고전소통] 한비자의 팔간 (6) 유행 궁 안에 갇혀 사는 군주가 현실 세계 접촉이 제한된 점을 활용하는 것이다. 밖으로는 타국의 멀솜씨가 능란한 사람을 초청하고 안으로는 나라의 웅변가를 길러 이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소개한다. 말솜씨가 능란한 사람의 견해를 반복함으로서 군주가 저연스럽게 자신의 견해에 따르도록 하는 방법이다. [시와문학 (15)]/˚♡。--- 고전소통 2024.01.28
[고전소통] 한비자의 팔간 (5) 민맹 간신이 국가 재정을 마구 써서 선심을 베풀어 백성을 기쁘게 함으로서 많은 인기를 얻는 것이다. 조정에서나 시정에서나 모두 자신을 칭찬하도록 만들어 군주의 뜻을 막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루는 수법이다. [시와문학 (15)]/˚♡。--- 고전소통 2024.01.28
[고전소통] 한비자의 팔간 (4) 양양 '재앙'을 키운다는 뜻으로 군주가 사치와 환락에 빠지도록 하는 수법이다. 군주가 궁전이나 연못 등을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즐기고 미녀나 개, 말을 치장하기를 좋아한다면 이것은 곧 군주에게 재앙이다. 백성을 수탈하여 궁전과 연못을 장식하고 세금을 무겁게 하여 개와 말을 호화롭게 치장하며 군주를 즐겁게 하고 마음을 사로잡아 그 사이에 사리사욕을 채우는 것. 이것이 간신들이 '양양'을 이용하는 수법이다. [시와문학 (15)]/˚♡。--- 고전소통 2024.01.28
[고전소통] 한비자의 팔간 (3) 부형 군주가 친애하는 친인척들을 가리킨다. 또한 군주가 정치를 의논하는 대신이나 조정 관리들도 포함한다. 혈육과 군신관계로 결속된 이들은 군주를 극진히 섬기기에 군주는 '부형'들의 견해를 경청한다. 간신들이 부형들의 환심을사서, 부형들을 통하여 자기들의 원하는 바를 군주에게 진언하도록 시도한다. [시와문학 (15)]/˚♡。--- 고전소통 2024.01.28
[고전소통] 한비자의 '팔간' (2) 재방 군주의 곁에서 모시는 자들을 이용하는 수법이다. 예를 들면 내시, 몸종, 광대 풍악쟁이같이 군주를 좌우에서 가까이 모시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눈치로 군주의 내심을 꿰뚫어 보고, 군주의 말이 끝나기도 전에 비위를 맞춰 행동할 수 있다. 간신들은 '재방'들에게 몰래 뇌물을 주어 그 힘을 빌려 군주의 마음을 움직이려고 시도한다. [시와문학 (15)]/˚♡。--- 고전소통 2024.01.28
[고전소통] 한비자의 '팔간' (1) 동상 같은 잠자리에 있는 자들을 매수하여 군주를 매혹시키는 수법으로 (귀부인, 애첩 등 군주가 극진히 사랑하는 사람들이다.) 군주가 한가로울 때나, 술에 취해 핼렐레~ 되었을 때를 틈타 간신들이 이러한 자들을 이용하여 원 하는 것을 얻어낸다. [시와문학 (15)]/˚♡。--- 고전소통 2024.01.28
[고전소통] 한비자의 '팔간'과 '오두' 팔간 나쁜 신하가 군주에게 저지르는 '여덟가지 간사한 행동' 으로 '동상' '재방' '부형' '양앙' '민맹' '유행' '위강' '사방' 등이다. 오두 나라를 좀먹는 '다섯가지 해충'으로 '유가' '세객' '종횡가' '유협' '권문귀족' 등이다. [시와문학 (15)]/˚♡。--- 고전소통 2023.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