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 결정 관련 언론 브리핑을 갖고 있다.ⓒ양지웅 기자
제36주년 5·18민중항쟁 기념식을 이틀 앞둔 16일 정부는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리는 기념식에
'임을 위한 행진곡'을 공식 식순에 포함해 기념공연으로 합창한다고 밝혔다.
이유는 참여자에게 의무적으로 부르게 하는 ‘제창’ 방식을 강요해
또 다른 갈등을 유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보훈·안보단체와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이라는 것이다.
이번 결정에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여야 3당 원내 지도부와의 회동에서
‘국론 분열이 생기지 않는 좋은 방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해 제창이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가 높았다.
보훈·안보단체의 의견을 가장한 정부의 방침은 5·18에 대한 불편함을 그대로 내보이는 것으로,
‘518은 아직도 끝나지 않은 항쟁’임을 스스로 증명해 보이는 듯하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97년 5월 18일이 기념일로 제정된 이후 정부 기념식에서 2008년까지는 ‘제창’됐다.
그러다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첫해인 2008년 기념식이 끝나고 보훈·안보단체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특정세력이 민중의례 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묵념하지 않고 민주열사에 묵념하며
애국가 대신 부르는 대한민국을 부정하는 노래라고 문제제기했다.
이들은 대통령, 국무총리가 참석하는 정부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주먹을 흔들며
‘새날이 올 때까지 임을 위해 행진하겠다’고 부르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강변했다.
그 뒤 2009년부터 2010년까지 2년간은 본 행사에서 제외되고 식전행사에서 합창단이 부르는 수모까지 겪는 등
‘임을 위한 행진곡’ 파행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5·18행사위 등은 35주년 5·18민중항쟁 기념식을 18일 오전 옛 전남도청 앞 민주평화광장에서 진행하고 있다.
이날 마지막 순서로 ‘님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김주형 기자
지금이라도 정부가 입장을 바꿔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식순에 포함해줄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다.
‘임을 위한 행진곡’을 기념식에서 간절히 부르고 싶은 사람들은 5·18 민중항쟁 당시 희생자와 유족들이다.
보훈안보단체의 의견보다 우선시되어야 한다.
지난해 제35주년 기념식은 정부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거부’ 방침에 반발해
5·18 3단체가 참여하지 않은 채 따로 기념식이 열리는 초유의 사태까지 벌어졌다.
보라, 국론 분열은 제창을 불허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정부가 5·18 정신을 폄훼하는 자에 대해 강력하게 조치를 하였더라면 지금의 사태는 없었을 것이다.
오히려 정부가 국론분열을 주도한 셈이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기념식 공연에 합창될 노래가 아니다.
5·18은 독재를 거부하고 민주주의를 열망했던 시민의 항쟁이었고 그 노래에는 5.18정신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정부 기념일이라면 기념일에 맞는 노래를 부르며 그 정신을 이어가겠다고 다짐해야 한다.
일부가 불편해 한다고 박제화하고 대상화해서는 안 된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반드시 다함께 부르는 노래여야 한다.
남은 시간 정부의 입장 변화를 기대해 보지만, 만약 정부의 입장 재고가 없다면
18일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개최되는 제36주년 5·18민중항쟁 기념식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이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주먹을 흔들며 함께 제창할 것을 제안한다.
'[서울의소리](19) > ˚♡。─서울의 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타협 대신 ‘타협하는 척’한 대통령 (0) | 2016.05.18 |
---|---|
제창과 침묵과 입장 저지, ‘국론분열’ 현장된 5·18 기념식 (0) | 2016.05.18 |
[사설] ‘언론자유지수 70위’가 말해주는 것 (0) | 2016.05.12 |
[사설] ‘임을 위한 행진곡’이 종북 찬양가라니 (0) | 2016.05.12 |
파견법이 실업대책? 박 대통령의 웃기는 소리 (0) | 2016.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