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역대최대 규모인 5.8의 지진이 발생한 경북 경주지역에 일주일 만에 4.5라는 강진이 발생했다.
다시 덮친 지진에 인근 지역민은 물론 전 국민이 충격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경주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할 것이 확실시된다.
새누리당은 19일 지진에 앞서 국민을 안심시키기 위해 21일 경주에서 긴급 현장최고위원회를 열기로 했다.
그러나 정부의 무능하고 무책임한 대응이 지진보다 더 국민을 공포로 몰아넣고 있다는 점을 애써 외면하고 있다.
경주 지역의 강진은 무엇보다 원전과 방사능시설 밀집지역에서 일어났다는 점에서 국민들에게 충격을 주고 있다.
12일의 지진 진원은 무려 6기의 원전이 가동되고 있는 월성원전에서 불과 27km 밖에 떨어지지 않았고
19일도 비슷한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했다.
경주 지하에는 방사성폐기물처리장까지 들어서 있다.
이번에는 규모 5.8과 4.5의 지진이지만 언제 더 큰 지진이 올지 알 수 없다.
정부의 거듭된 무능은 말하기도 지칠 지경이다.
12일 지진 발생 직후 정부의 재난주무 부처인 국민안전처의 홈페이지는 다운됐고,
긴급재난문자는 8분이나 지나 일부 지역만 전달됐다.
19일 역시 홈페이지는 2시간 이상 다운됐고 문자는 지연됐으며 그나마도 일부 지역만 전송됐다.
세월호 참사 직후 재난대응 컨트롤타워라고 설립된 국민안전처가 하는 일이 무엇인지 궁금할 지경이다.
지진이 지상 몇km에서 일어난 것인지, 원전 인근의 양산단층이 어떤 상태인지 정확한 측정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여전히 지진대응요령도 제각각이어서 혼란스럽고 국민들에게 잘 홍보되지 않고 있다.
재난방송주관사인 KBS가 12일과 달리 드라마 대신 특보를 방송체제로 전환된 것이 유일한 위안거리라고 할 수 있다.
그나마도 19일 지진이 12일 여진이며 원전은 안전하다는 정부 입장만 반복해서 전파를 탔을 뿐이다.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는
“원전에 대해서 막연한 불안감이나 괴담이 있을 수 있으니 안도감을 주기 위해
전문가와 최고위원들이 현장에 한 번 가면 어떻겠느냐는 의견이 있었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국민안전 문제는 정략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새누리당이야말로 국민의 불안을 괴담 탓으로 돌리고
정부의 무능을 비호하는 극히 정략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는 자연재해 앞에 인간의 오만이 얼마나 헛된가를 보여줬다.
새누리당 안에서도 원전 증설을 유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 않은가.
정부여당은 이제라도 정략적이고 일방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전문가와 시민사회의 목소리에 귀를 열어야 한다.
환경운동연합은 19일 밤 긴급성명을 통해 원전 가동을 일시 중단하고
객관적인 안전점검을 실시하라고 촉구했다.
차제에 이미 세계적 흐름이 된 ‘탈핵’을 포함해 국민의 안전을 근본적으로 보장할 길을 함께 찾아야 한다.
정권의 무능을 감추기 위해 국민의 안전을 담보로 도박하는 것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
'[서울의소리](19) > ˚♡。─서울의 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최순실 의혹’, 친인척 비리 차원에서 다뤄야 한다 (0) | 2016.09.22 |
---|---|
추미애 “박근혜 대통령, 무능한 지진 대응 사과해야” (0) | 2016.09.21 |
[사설] 불통의 끝을 보여주는 장관임명 (0) | 2016.09.05 |
새누리당 소속 이철우 국회 정보위원장 (0) | 2016.09.05 |
[최초분석] 미군은 사드 배치 지역을 왜 하필 경북 성주로 정했을까 (0) | 2016.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