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22일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실세'로 지목된 최순실 씨와
안종범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등의 개입 의혹이 제기된 미르·K스포츠 재단 사건과 관련해
"정치권이 대기업들의 돈을 뜯어먹고 살던 시절이 독재시절의 부정부패였다"며
"박근혜 정권 들어서서 이런 일이 부활됐는지 참으로 한심스럽다"고 비판했다.
우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전두환 대통령 때 장세동(전 국가안전기획부장) 씨가 군화발로 정주영 회장의 무르팍을 까면서
백억 원, 2백억 원씩 모금했던 시절이 있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퇴임하고 비자금이 수천억 원에서 조 단위에 이르러 망신을 당한 적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 원내대표는 "대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돈을 냈다? 그것이 다 장세동이 하던 말이다.
어느 기업이 자발적으로 수백억 원씩 돈을 낸단 말인가"라며
"모금 과정에서 누가 어떤 방식으로 개입해서 목을 비틀었는지 비리를 밝혀내지 않는다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바로 설 수 없다"고 꼬집었다.
또한 "모금 액수를 보니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 시절처럼 기업별로 퍼센티지를 정해서 모금을 했다.
자발적으로 자기 기업의 퍼센테이지를 정했다는 말인가"라며
"누가 어떤 방식으로 관여했고 대기업은 내고 싶지 않은 돈을 왜 냈는지가 이 사건의 본질"이라고 지적했다.
우 원내대표는 "안종범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은 본인이 안 했다고 하는데 그러면 누가 했나.
이 문제를 정권차원에서 밝히지 않는다면 나라 바로 세우기 차원에서 국회가 반드시 파헤치겠다"며
"이 재단은 왜 만들었는지, 누구를 위해서 만들었는지,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에 대해서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일부 언론 보도를 통해 이석수 특별감찰관이 지난 7월 안 수석이
미르·K스포츠 재단의 모금 과정에 개입했다는 첩보를 입수, 내사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