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인 19일 서울 도심에서 시민단체들이 개최한 제3차 ‘민중총궐기 대회’가 문화제 형식으로 열렸다.
경찰과 충돌없이 행진까지 마무리됐지만 경찰은 또 집회 주최 측 집행부를 사법처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민중총궐기투쟁본부’는 이날 오후 광화문광장에서 5000여명
(주최측 추산·경찰추산 2500여명)이 모인 가운데 3차 민중총궐기 대회를 열었다.
주최 측은 애초 서울역광장과 서울광장에서 집회를 열겠다고 신고했지만,
경찰이 보수단체의 다른 집회와 시간·장소가 겹친다는 이유로 금지통고하자
집회를 문화제로 열겠다며 서울시로부터 광화문광장 사용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19일 보수단체가 집회를 신고한 서울광장에서는 아무런 집회도 열리지 않았다.
19일 오후 서울 세종대로 광화문광장에서 노동개악 저지, 백남기 농민 쾌유기원
3차 민중총궐기 ‘소(란스럽고)요(란한) 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소요문화제’라는 이름으로 열린 이날 3차 민중총궐기에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과 전국노점상총연합회(전노련),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등
시민사회 단체와 시민들이 참가했다.
민중총궐기투쟁본부는 경찰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한상균 위원장 등
1차 총궐기 참가 단체 대표 등에 ‘소요죄’를 적용하는 것을 비판하며
3차 민중총궐기를 ‘소(란스럽고)요(란한)문화제’로 명명했다.
19일 오후 서울 세종대로 광화문광장에서 노동개악 저지, 백남기 농민 쾌유기원
3차 민중총궐기 ‘소(란스럽고)요(란한) 문화제’가 열려 참석자들이
탬버린과 손바닥 모양의 소리 유발 기구 등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참가자들은 탬버린, 부부젤라, 호루라기, 막대풍선, 북 등을 준비해 공연·발언이 끝날 때마다 소리를 내며 호응했다.
일부 참석자는 가면을 썼고, ‘박근혜는 물러가’, ‘노동개악 중단해’, ‘공안탄압 중단해’ 등의 피켓을 들기도 했다.
최종진 민노총 수석부위원장은 “정말로 정권이 미쳤다. 대통령이 제정신이 아니다”라며
“민주노총 지켜내고 함께 투쟁할 때 이 암흑의 정권에서 승리를 가져올 수 있다. 끝까지 함께 해달라”고 말했다.
행사 도중 주최 측은 경찰이 일반 시민 통행로 확보를 위해 설치한 폴리스라인을 놓고
“경찰이 자진 철거하지 않으면 우리가 철거하겠다”고 말해 잠시 긴장감이 돌기도 했지만,
경찰과 충돌 상황까지 번지지는 않았다.
참석자들은 행사를 마치고 광화문광장 옆 서울 파이낸스 빌딩부터
보신각을 거쳐 마로니에공원까지 3.6㎞를 행진했다.
19일 오후 서울 세종대로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노동개악 저지, 백남기 농민 쾌유기원
3차 민중총궐기 ‘소(란스럽고)요(란한) 문화제’ 참석자들이
종각사거리를 지나 행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찰은 이날 행사에 대해 ‘순수한 문화제’가 아니라 집회·시위로 변질됐다고 판단하고,
주최 측 집행부에 대한 처벌 절차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경찰은 “정치성 구호가 적힌 플래카드와 피켓을 사용하고, 무대에 오른 발언자 대부분이 정치적 발언을 했으며,
행사장 주변에서 시민을 상대로 ‘한상균을 석방하라’ 등 유인물을 배포하고
사회자의 선동에 따라 구호를 제창했다”고 주장했다.
또 “행사의 전체적인 전개 양상을 볼 때 순수 문화제의 범위를 넘어선 미신고 불법 집회를 개최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행사 전 사회자가 ‘다른 어떤 집회보다 더 뜨거운 집회로 만들려 한다’며 스스로 행사를 ‘집회’라고 말했다”고 주장했다.
'[최신종합뉴스](19) > ˚♡。---시사·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안부 합의 '외교참사' 치닫나 (0) | 2015.12.30 |
---|---|
경기·인천 20개 대학 중 17곳 '대자보·집회 등 사전 승인' 명시 (0) | 2015.12.21 |
이윤석 친일파·야당 발언 논란, 하차 운동으로 번지나 (0) | 2015.12.15 |
세월호특조위, 사흘간 청문회 시작..증인들 '모르쇠' 일관(종합) (0) | 2015.12.14 |
울분토한 安 "어떻게 나더러 새누리당이라 할 수 있나" (0) | 2015.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