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효소의 구성
효소의 주성분은 단백질이며, 대부분의 소화 효소는 단백질만으로도 활성을 나타내지만,
다른 효소들은 단백질만으로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단백질 외에 비단백질성의 다른 물질이 있어야 활성을 나타낸다.
※ 효소는 단백질로 되어 있어 각 효소마다 고유의 입체 구조를 가진다.
효소의 단백질 부분을 주효소라고 하고, 효소의 작용을 도와주는 비단백질 부분을 보조 인자라고 하며,
주효소와 보조 인자가 결합하여 완전한 기능을 나타내는 효소를 전효소라고 한다.
◇ 보조 인자의 작용
보조 인자는 효소의 활성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에 결합하여 활성 부위의 구조를
기질과 결합하기 적합한 형태로 변형시키거나, 활성 부위와 기질 사이에 결합하여 효소의 작용을 돕는다
◇ 전효소
전효소 =주효소 + 보조 인자(금속 이온 또는 조효소)
2. 보조 인자
보조 인자는 금속 이온과 조효소가 있다.
효소의 활동을 돕는 보조 인자 중에서 금속 이온은 효소에 일시적으로 결합하여 산화 환원되면서 효소가 활성을 띠게 한다.
이러한 금속 이온이 결합한 효소의 예로는 Zn2+이 결합한 카복시펩티데이스를 들 수 있다.
효소의 활성을 위해 필요한 유기물로 된 조효소는 비타민이나 유기 영양분이 변형된 것이 대부분이며
미량만 섭취해도 되는 것들이다.
이러한 조효소 중 NAD+, NADP+, FAD는 세포 호흡과 광합성에서 탈수소 효소의 조효소로 작용한다.
금속 이온 | Fe2+, Cu2+, Zn2+과 같은 무기 이온 예)Zn2+이 결합한 탄산 무수화 효소 |
조효소 |
비타민 등의 유기물로 이루어진 보조 인자
|
◇ 조효소의 크기
효소액이 담긴 셀로판 주머니를 증류수가 담긴 비커에 10분 정도 두었다.
3. 보결족
효소와 매우 강하게 결합되어 있어 영구적으로 분리되지 않는 것으로,
효소를 분해하거나 변성시키지 않고는 주효소로부터 분리하기 어렵다.
보결 분자단이라고도 하는데, 보통 금속 이온과 유기물 분자를 함께 포함한다. →
예)헤모글로빈과 사이토크롬에 존재하는 헴 그룹
◇ 보결족과 조효소
보조 인자 중 보결족은 공유 결합을 통해 거의 영구적으로 주효소와 결합해 있고,
조효소는 대부분 정전기적 상호 작용, 수소 결합 등과 같은 비공유 결합에 의해 주효소와 일시적으로 결합해 있다.
'[효소] > ˚♡。─-- 효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베리 (0) | 2015.06.24 |
---|---|
산야초草 발효효소 (개복숭아) (0) | 2015.06.24 |
오디 (뽕나무 열매) (0) | 2015.06.22 |
효소의 종류 (0) | 2015.06.21 |
효소 (0) | 2015.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