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이 가장 영향력있는 언론사, 가장 신뢰하는 언론사에 JTBC가 꼽혔다.
한 매체가 영향력과 신뢰도 모두 1위를 차지한 것은 기자협회의 조사가 이뤄진 이후 처음이다.
한국기자협회가 창립 53주년을 맞아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8월 1일부터 4일까지
기자 3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소속사를 제외하고 가장 영향력있는 언론매체는 어디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27.4%가 JTBC라고 답했다.
뒤를 이어 조선일보(17.8%), KBS(17.3%), 연합뉴스(3.3%) 순으로 조사됐다.
JTBC의 영향력은 2014년 1.6%, 2015년 4.2%, 2016년 11.0%로 매해 상승하다가
올해 27.4%로 급격히 올라서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조사에서는 조선일보가 1위였고 2011년부터 2015년까지 4회 연속 KBS가 1위였다.
신뢰도 조사에서 JTBC가 30.3%로 1위에 올랐고 뒤를 이어
한겨레(12.1%), KBS(6.0%), 중앙일보(4.2%) 순으로 조사됐다.
2006년부터 2016년까지 9회 연속 신뢰도 1위를 지켰던 한겨레는 올해 2위로 밀려났다.
디지털전략을 가장 잘 실천하는 언론사에는 20.6%가 SBS를 꼽았고
이어 중앙일보(18.3%), JTBC(13.5%), 조선일보(3.9%) 순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조사에서는 SBS(17.3%), 중앙일보(11.0%)로 1,2를 차지했었다.
우리나라 언론이 언론으로서 역할과 기능을 얼마나 잘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대체로 잘 수행하고 있다(57.7%)’와 ‘매우 잘 수행하고 있다(2.7%)’로
응답자의 60.4% 잘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별로 수행하지 못한다(38.9%)’, ‘전혀 수행하지 못한다(0.7%)’로
부정적 답변도 39.6%나 있었다.
특히 ‘수행을 못한다’고 부정적으로 답한 기자들은 방송기자가 53.1%로 높게 조사됐고,
연차별로는 11~15년차(47.7%), 6~10년차(46.8%)에서 많은 편이었다.
국민들은 언론 전반에 대해 얼마나 신뢰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74.8%가 ‘신뢰회지 못한다’고 답했고, ‘신뢰한다’는 답변은 25.2%에 그쳤다.
최근 1년 동안 정치권력이나 정부에 비판적인 보도를 하려다
압력으로 좌절된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 19.3%가 ‘있다’고 답했다.
특히 재벌이나 대기업에 대한 비판적 보도 좌절 경험에 대해 23.6%가 ‘있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4일 전국 기자 300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로 실시됐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5.7%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