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기요양인정점수가 68점인 대상자의 장기요양 등급은?. 3
1) 장기요양 1등급. 2) 장기요양 2등급. 3) 장기요양 3등급. 4) 등급 외 A형. 5) 등급 외 B형
2. 수급자를 하루 중 일정 시간 동안 장기요양기관에 보호하여 신체활동 지원 등을 제공하는 장기요양급여는?.5
1) 방문요양. 2) 방문목욕. 3) 방문간호. 4) 단기보호. 5) 주ㆍ야간보호
3. 다음 중 신체활동지원서비스에 해당하는 것은?.4
1) 청소하기. 2) 식사준비. 3) 세탁하기. 4) 식사도움. 5) 의사소통 도움
4. 재가노인에 대한 요양보호서비스 제공 원칙으로 옳은 것은?.5
1) 요양보호사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2) 요양보호사는 자비구매를 생활화한다.
3) 이송병원에 대상자기록을 공개하지 않는다. 4) 재가노인의 무리한 요구라도 무조건 들어준다.
5) 대상자가 자기관리를 하도록 옆에서 지원한다.
5. 요양보호사가 재가대상자의 학대 사실을 알았을 때 신고하는 곳은?.5
1) 보건소. 2) 주민자치센터. 3) 중앙응급의료센터. 4) 건강가정지원센터. 5) 노인보호전문기관
6. 요양보호사의 직업성 감염질환에 해당하는 것은?.1
1) 옴. 2) 치매. 3) 당뇨병. 4) 대장암. 5) 관절염
7. 노인의 심혈관계 변화로 옳은 것은?.3
1) 심장크기의 감소. 2) 심장크기의 증가. 3) 말초혈관저항 증가
4) 심실 충만 속도 증가 5) 심실 분출 속도 증가
8. 다음 내용과 관련된 노인의 심리적 특성은?.5
◦객관적으로 봐서 그르거나 이익이 없는데도 계속 고집을 부리는 태도 ◦자신의 체면을 손상하지 않으려고 자신의 생각대로 행동하려는 경향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떨어지는 경향 |
1) 애착성. 2) 조심성. 3) 우울증. 4) 수동성. 5) 경직성
9. 술 취한 사람처럼 비틀거리고 한쪽으로 자꾸 쓰러지려 하고,
물건을 잡으려고 할 때 정확하게 잡지 못하고 빗나가는 증상은?.1
1) 운동실조증. 2) 현기증. 3) 천명음 . 4) 연하곤란. 5) 평형감각장애
10. 노인들이 죽음이라는 현실을 보다 잘 인식할 수 있는 커다란 계기가 되는 것은?.4
1) 자녀의 죽음. 2) 자녀의 출가. 3) 직업의 상실. 4) 배우자의 죽음. 5) 유명인의 죽음
11. 뇌졸중의 증상으로 옳은 것은?.3
1) 허리통증, 잦은 골절 2) 호흡곤란, 과체중 3) 언어장애, 연하곤란
4) 가려움증, 피부발적 5) 다음증, 체중감소
12. 몸이 느려짐, 얼굴 표정의 굳어짐, 안정시의 떨림 등으로
자주 넘어지거나 균형감각이 소실되는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질환은?.4
1) 뇌졸중.2) 골다공증. 3) 루게릭병.4) 파킨슨병.5) 알츠하이머병
13. 녹내장의 증상으로 옳은 것은?.2
1) 다음증.2) 좁은 시야. 3) 동공에 백색 혼탁.4) 불빛 주위에 무지개.5) 통증이 없는 흐린 시력
14. 저혈당 시 위험한 합병증상으로 옳은 것은?.3
1) 간손상.2) 다뇨증. 3) 뇌손상. 4) 다식증. 5) 고혈압
15. 수시간 내지 수일에 걸쳐 급격하게 발생하며, 인지기능 전반의 장애와 정신병적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은?.2
1) 망상. 2) 섬망. 3) 치매. 4) 환각. 5) 우울증
16. 골다공증 예방에 좋은 운동으로 옳은 것은?.2.
1) 수영. 2) 걷기. 3) 축구. 4) 마라톤. 5) 스키
17. 대상자의 복약 돕기의 방법으로 옳은 것은?.1
1) 안연고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바른다.
2) 안연고는 처음 나오는 것을 손가락에 짜서 발라준다.
3) 안약(물약)은 하부결막낭 바깥쪽 중앙 지점에 점액한다.
4) 캡슐약은 소화가 안 되므로 벗겨서 가루만 투여한다.
5) 귀약 투여 시 귓바퀴를 후하방으로 잡아당겨 귓구멍을 일직선이 되게 한다.
18. 소변주머니를 방광보다 낮게 두는 이유로 옳은 것은?.2
1) 방광에 소변이 차지 않도록 하려고 2)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3) 연결관이 빠지지 않도록 하려고 4) 연결관이 꺾이지 않도록 하려고
5)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막으려고
19. 왼쪽 다리가 불편한 대상자가 지팡이를 짚고 계단을 오를 때 옳은 순서는?.2
1) 지팡이 - 왼쪽 다리 - 오른쪽 다리 2) 지팡이 - 오른쪽 다리 - 왼쪽 다리
3) 오른쪽 다리 - 지팡이 - 왼쪽 다리 4) 오른쪽 다리 - 왼쪽 다리 - 지팡이
5) 왼쪽 다리 - 지팡이 - 오른쪽 다리
20. 침대에서 떨어져 외상이 의심되는 대상자를 고정하여 이송할 때 사용하는 것은?.4
1) 보행기. 2) 보행벨트. 3) 지팡이. 4) 척추고정판. 5) 전동휠체어
21. 장기간 누워 있는 대상자의 욕창 예방 방법으로 옳은 것은?.2
1) 몸에 꽉 끼는 옷을 입힌다.
2) 침대시트의 주름을 없앤다.
3) 뜨거운 물주머니로 찜질한다.
4) 뼈 돌출부위를 마사지한다.
5) 도넛 모양의 베개로 천골 부위를 받쳐준다.
22. 당뇨병 환자가 피해야 할 음식으로 옳은 것은?.5
1) 버섯. 2) 해조류. 3) 양상추. 4) 맑은 채소국. 5) 달콤한 케이크
23. 항암치료 후 속이 메스꺼운 환자에게 알맞은 음식은?.3
1) 달콤한 도넛. 2) 뜨거운 홍차. 3) 차가운 주스. 4) 바삭한 새우튀김. 5) 구수한 청국장
24. 세탁물을 건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4
1) 면소재는 그늘에서 말린다. 2) 합성섬유는 햇볕에 말린다.
3) 스웨터는 빨랫줄에 걸쳐 넌다. 4) 니트 종류는 통풍이 되는 곳에서 건조한다.
5) 청바지는 뒤집어서 말리고, 지퍼는 닫아둔다.
25.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5
1) 음악을 크게 틀어 놓는다.
2) 습도는 높을수록 건강에 좋다.
3) 야간에 계단, 복도의 조명은 꺼둔다.
4) 냉방은 외부와의 온도차가 5℃ 이상 되게 한다.
5) 환기 시에는 바람이 대상자에게 직접 닿지 않게 한다.
26. 노인대상자와의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태도에 해당하는 것은?.4
1) 대상자와 시선을 맞춘다.
2) 대상자의 표정을 관찰한다.
3) 머리를 끄덕이며 반응을 보인다.
4) 충분히 듣지 않고 곧바로 조언한다.
5) 상대방의 말을 비판적으로 듣지 않도록 한다.
27. 다음 대화와 관련이 깊은 요양보호사의 의사소통 기술은?.3
대 상 자 : 아들이 요즘 연락도 없고, 전화를 해볼까 해. 요양보호사 : 그렇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1) 존중하기. 2) 요약하기. 3) 격려하기. 4) 관심갖기. 5) 덮어주기
28. 다음 대화에서 요양보호사의 대답으로 옳은 것은?.5
대 상 자 : 손녀가 같이 여행을 가자고 하는데 어떻게 할까? 요양보호사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1) “어르신 생각은 어떠세요?” 2) “여행 가실래요? 안 가실래요?”
3) “어디로 여행 가실 건가요?” 4) “어르신, 미국으로 여행 가세요.”
5) “다녀오세요. 좋은 추억 많이 담아오세요.”
29. 다음 의사소통 기술과 관련 있는 듣기 장애는?.3
#주의사항을 문서화한다. #모든 물품에 이름표를 붙인다. #시간, 장소, 날짜를 계속 알려준다. |
1) 시각장애. 2) 정서장애. 3) 지남력장애. 4) 주의력장애. 5) 노인성 난청
30. 부인과 사별하고 1년 동안 외부와 단절되어 있던 노인에게 알맞은 여가활동은?.1
1) 친목활동. 2) 구슬끼기. 3) 배드민턴. 4) 에어로빅. 5) 그림그리기
31. 요양보호사가 기록을 하는 목적으로 옳은 것은?.5
1) 유사시 책임 회피 2) 대상자의 비밀엄수
3) 업무의 정형성을 높임 4) 조직의 명령체계 유지
5) 전문가 간에 협조체제 활성화
32. 다음은 문제중심기록(SOAP)에 관한 내용이다. 밑줄 친 부분은 어느 단계인가?.1
대 상 자 : “집에 가야지 집에 가서 우리 손자 밥 챙겨 줘야지. 얼른 가야하는데, 내가 왜 여기 있는 거야.” 요양보호사 : “할머니, 일단 이 콩나물부터 다듬어 보실래요?” 대상자는 면담 도중 3회의 배회행동이 관찰되었다. 대상자는 면담 중 면담에 집중하는 시간이 짧고, 손자녀 밥을 챙겨 주어야 한다며, 매우 불안한 양상으로 배회를 하여 길을 잃거나 낙상사고가 우려된다. 배회행동을 관찰하고, 배회행동과 연관이 있는 망상을 파악한다. 대상자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한 소일거리를 제공한다. |
1) 계획. 2) 사정. 3) 종결. 4) 주관적 정보. 5) 객관적 정보
33. 방문요양서비스 제공기록지의 기록 항목에 해당하는 것은?.5
1) 혈압측정. 2) 배설간호. 3) 물리치료. 4) 차량이용여부. 5) 장기요양인정번호
34. 요양보호사의 업무보고 요령으로 옳은 것은?.1
1) 공식용어를 사용한다.
2) 보고는 항상 여유를 갖고 한다.
3) 정감있는 사투리를 섞어 보고한다.
4) 중요한 사항은 반복해서 보고한다.
5) 대부분의 보고는 구두보고로 한다.
35. 대상자가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화분의 흙을 먹으려고 할 때 의심되는 증상은?.3
1) 대식증. 2) 폭식증. 3) 이식증. 4) 거식증. 5) 반추증
36. 치매대상자와의 의사소통 방법으로 옳은 것은?.5
1) 반말을 사용한다. 2) 함축적 질문을 한다.
3) 반복하여 말하지 않는다. 4) 여러 가지 주제를 동시에 말한다.
5) 낮은 목소리로 대상자의 속도에 맞춘다.
37. 임종이 임박한 대상자의 신체적 징후로 옳은 것은?.5
1) 동공이 축소된다. 2) 맥박이 빨라진다.
3) 혈압이 올라간다. 4) 피부색이 붉어진다.
5) 무호흡과 심호흡이 교차한다.
38. 임종을 앞둔 대상자가 불안과 두려움의 심리적 변화를 나타낼 때 요양보호사의 대처방법으로 옳은 것은?.2
1) 살 수 있다는 희망을 준다. 2) 원하는 친구를 만나게 해 준다.
3) 대상자에게 장기기증을 권유한다. 4) 요양보호사가 믿는 종교를 권유한다.
5) 대상자 재산을 기부하도록 권유한다.
39. 대상자가 뜨거운 다리미를 만져 손가락에 화상을 입었을 때 응급처치로 옳은 것은?①
1) 찬물에 담근다. 2) 참기름을 바른다.
3) 얼음으로 세게 문지른다. 4) 된장을 바르고 물수건으로 감싼다.
5) 손가락에 수돗물을 세게 틀어 놓는다.
40. 거실에 쓰러진 대상자에게 기본소생술을 실시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조치는?①
1) 도움요청. 2) 기도개방. 3) 흉부압박. 4) 호흡확인. 5) 재순환 확인
'[생활정보 (15)] > ˚♡。--보건복지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회 부터 16회 까지 (이론, 실기) (0) | 2015.11.15 |
---|---|
제11회 요양보호사 2교시 실기 문제 (0) | 2015.11.14 |
제10회 요양보호사 2교시 실기 정답및 해설 (0) | 2015.11.14 |
제10회 요양보호사 2교시 실기 문제 (0) | 2015.11.14 |
제10회 요양보호사 1교시 이론 정답및 해설 (0) | 2015.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