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현상으로 논란을 빚은 영주댐에서 일명 ‘똥물현상’이 나타나 시민단체가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경북 영주시에 소재하는 영주댐은 4대강 사업의 일환인 ‘낙동강 수질 개선용’ 으로 건설됐다.
3일 내성천보존회는 2일 영주댐에서 발생한 ‘똥물현상’ 동영상을 공개했다.
‘똥물현상’이란 생존기간이 7일~10일에 그치는 녹조가 죽어서 검은 색으로 변하고,
이어 혐기성 발효를 거치고, 결국 축사 옆 고인 물에서나 볼 수 있는 간장 색 오수가 되어
축분 냄새를 풍기며 담수호를 가득 채우는 현상을 말한다.
축분에 의해 생성된 후 죽은 녹조는 혐기성 발효를 거치면서 다시 축분의 성질을 내어 놓는다.
이 때문에 축사 옆에서나 볼 수 있는 쇠날파리가 내성천에 번성한다.
내성천보존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영주댐 건설 이전, 영주댐 담수 유역을 포함하여 100 km 내성천은 어디 가도 맑고 깨끗한 청정수가 흘렀다”며,
“영주댐 건설 이후 이와 같이 녹조현상, 똥물현상에 직격탄을 맞은 내성천은
세계적으로도 유래 없는 특이한 현상으로 더러운 물을 만들어 내고 있다.
영주댐은 ‘똥물 제조 공장’이라 할만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금빛 은빛 고운 모래는 간데없고 똥물이 흐르는 내성천으로 전변시킨 책임은
영주댐 환경영향평가를 담당한 환경부에 있다”며, “국토부에게 ‘댐 건설 중단’을 요구하기도 했고,
환경부에게는 ‘담수 불허 결정’을 요구하기도 했지만 배척하기만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환경부는 수자원공사 비위 맞추기에만 급급했지
1300만영남인의 식수를 위한 수질에는 고의로 관심을 두지 않았다. 적폐의 대상일 뿐”이라며,
“대구지방환경청은 아직도 영주댐 방류구의 수질을 측정하지 않고 있으며,
수자원공사는 일부러 COD를 측정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내성천보존회는 “환경부는 영주댐을 포함하여 내성천 전반에 대한
환경문제를 조사할 민관학 기구를 설치하여 전면적인 조사를 행하여야 한다”며 복원을 촉구했다.
이어 “환경부는 즉각 수자원공사에게 방류 중지 명령을 내리고,
수질정화 후 방류할 것을 요구하여야 한다”며, “영주댐의 수질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성천보존회ⓒ내성천보존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