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유럽을 시작으로 전세계적으로 WannaCry 랜섬웨어가 감염되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현재는 어느 한 애널리스트가 우연히 킬스위치를 발견하여 더이상 확산되고 있진않지만
WannaCry 개발자가 다른 방법으로 변종을 퍼트릴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WannaCry 랜섬웨어가 위협적인 이유는 윈도우의 SMB 취약점 공격으로
인터넷만 연결되어있다면 '가만히 있어도' 감염이 됩니다.
예방법은 윈도우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하시면 영향을 받지 않으며
MS에서 이례적으로 지원이 중단된 XP에도 보안 패치를 제공하였습니다.
아래의 윈도우 버전을 사용중이신 분은 목록 하단의 링크에서 패치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Windows XP
Windows Vista
Windows Server 2003
Windows Server 2008
Windows 8
http://www.catalog.update.microsoft.com/Search.aspx?q=KB4012598
아직 지원중인 Windows 7, Windows 10은 윈도우 업데이트에서 업데이트하면 패치가 가능하니
귀찮더라도 이글을 읽는 즉시 보안업데이트를 하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다른 랜섬웨어 예방법을 알려드리면
1. 플래시는 차단하시는게 좋고 꼭 써야하신다면
어도비 홈페이지에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시길 바랍니다.
(물론 윈도우 보안업데이트에 같이 포함되어서 업데이트되기도합니다.)
2. 의심되는 메일은 함부로 열어보시면 안되며
광고 서버를 해킹해서 감염시키는 랜섬웨어도 많기때문에
저작권 회피 사이트(X토미, 토렌트 공유사이트, 각종 읍읍사이트 등등..)
사용시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럴경우는 Adblock, Adguard와 같은 광고 차단 플러그인이 도움됩니다.
3. Windows 10부터 Windows Defender 성능이 많이 개선되었긴 하나
무료 백신 하나정도는 설치를 권장합니다.
요즘나오는 백신은 대부분 랜섬웨어 방어가 가능하긴합니다만
백신에 따라 이 기능이없거나 기본값으로 비활성화되어있는 경우도 있으니
사용중인 백신이 랜섬웨어 탐지 기능을 지원하는지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더 확실한 방어가 필요하시다면 유료 백신 사용하시는것도 좋습니다.
저는 카스퍼스키 인터넷 시큐리티 2017 사용중인데
카스퍼스키는 랜섬웨어 치료후 감염된 파일을 자동으로 이전상태로
복구시켜주는 기능이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럼 이만 여러분들의 소중한 자료를 잃지 않길 빌며..
'[유틸정보 (15)] > ˚♡。─컴퓨터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 - 7 시스템 복원 복구 방법 (0) | 2018.01.25 |
---|---|
어도비 업데이트 파일로 위장한 '직소 랜섬웨어' 주의 (0) | 2017.06.14 |
사이버 먼데이 노린 해킹주의보..이메일 링크 클릭했다 "아차" (0) | 2015.11.29 |
랜섬웨어 cryptolocker 바이러스 대응,검색,해제 방법 (0) | 2015.11.27 |
다음 클라우드에 있는 파일 백업 한 후 다시 여는 방법 (0) | 2015.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