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 NEWS](19)/˚♡ JTBC - 뉴스룸

[앵커브리핑] 전기요금 폭탄…스물 한 대의 곤장?

또바기1957 2016. 8. 11. 21:12

[앵커브리핑] 전기요금 폭탄…스물 한 대의 곤장?
영상뉴스입니다.영상뉴스입니다.


뉴스룸 앵커브리핑을 시작합니다.

"내 더위 사가시오~" 정월대보름날 아침에 행하는 이른바

'더위팔기' 풍속입니다.

한겨울,

추위가 절정이었을 정월대보름부터 여름철 무더위를 미리 팔아치운 걸 보면

조상들이 겪었던 여름 역시 가혹했던 모양입니다.

에어컨도 선풍기도 없었을 그 시절 다산 정약용 선생이 '소서팔사'에서

소개한 여덟 가지 더위 이기는 방법을 간략하게 보자면요.

솔밭에서 활쏘기, 느티나무 아래에서 그네타기, 대자리 깔고 바둑 두기,

숲속에서 매미소리 듣기.

어떠신지요?

다산 선생께는 좀 송구하지만…

이건 팔자 좋고 시간 많은 양반님들의 신선놀음이고,

일과 시간에 쫓기는 지친 사람들에겐

멀고 먼 안드로메다 얘기처럼 들리기도 하는군요.

차라리 이게 더 현실적일 지도 모르겠습니다.

조선 선조시절 '계암일록'에 등장하는 일화입니다.

한 노비가 너무나 더운 나머지 시장통에서 남의 얼음 한 조각을 입에 넣었다가 얼음주인댁 노비와 싸움이 붙었습니다.

얼마나 더우면 그랬을까…

다툼 끝에 노비는 옥에 갇혔고 사나운 매를 스물 한 대나 맞았다는 얘기입니다.

얼음 도둑…

더위를 참지 못해 가정용 에어컨을 켰던 우리들 역시

얼음도둑으로 몰린 그 노비와 같은 신세가 된 것은 혹시 아닐까.

사나운 곤장 대신 돌아올 것은 전기요금 폭탄이고 말입니다.

"누진제 완화하면 부자감세가 될 수 있다",

"합리적으로 사용하면 요금폭탄 아니다"

어제(9일) 댓글에서도 소개해드렸지만

이 정부에서 부자감세 걱정하는 것도 반어법으로 말하면

신선하기까지 하고 어떻게 사용해야 '합리적'이 되는 건지는

아무리 생각해도 잘 떠오르지 않고…

그래서 전기료 얘기가 나오면

정부가 예를 자주 드는 미국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이제 뭐 오래된 얘기이긴 합니다만…

제가 예전에 머물렀던 주에서는 매년 초봄이 되면 전력당국이

소비자들의 신청을 받아 극빈층의 경우는

여름 내내 전기료의 상한선을 두었습니다.

한 달 30달러 정도면 여름 내내 에어컨 전기값, 걱정하지 않아도 됐지요.

우리 조상들은 정월 대보름 때부터 사갈 사람도 없는 더위를 팔았지만

그 나라 정부는 초봄부터 어려운 사람들이 겪을 더위를

실제로 미리 사갔다는 얘기…

오늘의 앵커브리핑이었습니다.

http://news.jtbc.joins.com/html/304/NB1128930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