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대복(無量大福)
가만히 세상 사람들을 살펴보면
늘 복을 지으며 사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늘상 복을 까먹으며 사는 사람들이 있음을 봅니다.
복이라는 것은 고정되어진 실체가 없기 때문에
복을 받을만한 그릇이 되는 이에겐
한량없는 무량대복으로 다가오지만
그릇이 작은이에겐
자신의 그릇만큼의 복밖에는 가질 수 없습니다.
아무리 널려 있더라도 말입니다.
마치 하늘에서 내리는 비는 모든 대지를 골고루 적셔주지만
컵에는 컵만큼의 물만, 그릇에는 그릇만큼의 물만
대야에는 대야만큼의 물만이 차고
나머지는 모두 흘려내려
다시금 대지로 되돌아가는 것과 같은 이치라 할 것입니다.
복을 받고자 한다면
첫째가 스스로 복을 먼저 지어야합니다.
언제나 복짓는 마음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복짓는 마음이란 언제나 베푸는 마음입니다.
주는 마음처럼 풍성하고 즐거운 일이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삿된 소견으로,
어리석은 분별심으로 머리를 굴리기 때문에
“나의 것”을 다른 이에게 주기를 아까와 합니다.
내 것이 나간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소유의 관념처럼 우리의 삶에 활력을 넣어주는 것은 없을 겁니다.
또 우리의 삶을 불행에 빠지게 하는 것도 없을 겁니다.
극단적인 행복과 불행으로 우리의 마음을 철저하게 노예로 만드는
우리 마음의 지독한 마장(摩障)인 것입니다.
소유의 관념 그 하나의 잣대를 붙잡고
세상을 정신없이 살아가는 사람이 얼마나 많습니까?
얼마나 전도된 망상인지 모릅니다.
진정….
참으로….
베풀었을 때 부자가 되는 도리를 우린 너무도 알지 못합니다.
“아깝다”라는 그 마음이 아상(我相)입니다.
바로 이놈, 아상과의 싸움이 수행입니다.
언제나 베푸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이는
당장에는 부족한 듯 보여도
그 사람은 세상을 한마음에 품고 살아갑니다.
한마음 속에 세상 모든 것을 소유하며 살아갑니다.
이런 사람의 복그릇은 참으로 한량없습니다.
이런 복을 일컬어 無量大福이라고 합니다.
셀 수 없이 무량한 복이란 말입니다.
이런 사람은 당장은 필요한 물건만 있으니
다른 이들이 보기에는 행여 가난해 보일지 모릅니다.
그러나
이 사람은 모든 소유의 관념을 깨고 살기에
온천지 내 것이 아닌 것이 없습니다.
마음먹은 대로 모든 것이 “나의 것”으로 화해줍니다.
돈이 필요하면 돈으로
물건이 필요하면 물건으로
인연이 필요하면 소중한 인연으로’
그렇듯 모든 것이 마음먹은 대로 생겨나게 됩니다.
그 큰 한마음에는 어떤 것도 당해 낼 재간이 없습니다.
법계의 모든 돈 또한 그의 한마음에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한마음내면 없는 것이 없습니다.
정말 필요한 것이 있다면 텅 비어 오히려 충만한
그 한마음속에 모든 것을 넣어두기만 하면
법계 어디에선가 생기게 되어 있습니다.
그것이 법계의 이치입니다.
그럴진대….
우린 너무도 필요치 않은 것들을 쌓아 두고 삽니다.
집안을 가만히 살펴보십시오.
우리 주변에는 필요치 않은 것들이 너무 많이 널려 있습니다.
필요치는 않더라도 가지고는 있어야 마음 편할 줄로 압니다.
그야말로 남 주자니 아깝고 내겐 필요치 않은…
그런 물건이 얼마나 많습니까?
아까운 마음이 내복을 모두 빼앗아갑니다.
내게 필요치 않은 것은 절대로 쌓아 둘 필요가 없습니다.
누군가 필요한 이에게 널리 베푼다면 언젠가 다시 필요할 때
분명 다시 생기게 될 것입니다.
베푼다는 것은 소비생활이 아닌 엄청난 저축습관인 것입니다.
이 넓은 법계에 이 우주에 통째로 저축을 하는 것입니다.
언제든지 필요할 때
한마음 내어 가져다 쓸 수 있도록
좁은 소견으로는 인과의 굴레를 벗어날 수 없습니다.
자꾸만 아상을 거스르는 배품의 습관을 길러야
인과를 훌쩍 뛰어 넘을 수 있는 겁니다.
이와 같이
다른 이를 위한 배품에는
아무리 큰 것일지라도 텅 빈 마음으로 내어 줄 줄 알아야 하지만
자신을 위한 것들에는
작은 것에도 아껴쓰고 낭비하지 말아야 합니다.
일 상속에서 늘 아끼고 소중히 여기는 마음
이것 또한 참으로 커다란 복전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이웃을 위하여 밝은 마음을 내는 것
사회를 향한 베푸는 마음
나의 업장을 참회하는 수행심
어른을 공양하는 것
밝은 일에 적극적으로 봉사하는 것
올곧은 수행자에게 공양하는 것
탐,진,치 삼독심 차 버리는 것
이웃을 위하여 축복을 기원하는 것
이 모든 것이 참으로 소중한 복의 밭이 됨은 말 할 것도 없습니다.
수행하는 이의 마음으로 이 세상을 참답게 살아간다면
바로 이 사람이 무량대복의 소유자입니다.
마음 한가운데 세상을 소유하고 있기에
마음먹은 대로 언제든지 끄집어내 쓸 수 있는
진정 세상을 소유하는 사람입니다.
- 법상스님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