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종합뉴스](19)/˚♡ ----생활·날씨

등골이 오싹! ‘비오는 밤의 흉가체험’ 직접 해보니

또바기1957 2010. 8. 20. 18:18

등골이 오싹! ‘비오는 밤의 흉가체험’ 직접 해보니

서울신문 | 입력 2010.08.20 15:36 | 수정 2010.08.20 16:26

 

[서울신문 나우뉴스]

 
천둥번개와 함께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던 지난 15일 새벽 0시.
마포의 한 공원으로 사람들이 하나 둘 모여들기 시작했다.
안면도 모르는 8~9명이 모인 뒤 이들이 차를 타고 향한 곳은
경기도 의정부의 깊은 산골. 데면데면한 이들을 태운 차는 짓다 만
폐건물 앞에서 멈춰 섰다.

내비게이션도 찾기 어려운 깊은 산골을 찾은 이들은 바로
흉가나 폐가만을 골라 찾아다니는 인터넷 카페 회원들이다.
대부분 20대~30대 초반이며 혈혈단신으로 참가한 여성 회원도 4명이나 됐다.

 

 

 

 

 
억울하게 또는 잔인하게 죽은 뒤 이승을 떠도는 영가들을 만나려 모인
이들의 간담 서늘한 하룻밤 체험을 기자가 동행했다.

▲"각자의 사연을 간직한 흉가…봐도 못 본 척 하라"

체험을 이끄는 카페의 운영진인 아이디 '유령사냥꾼'(남, 30)은 '이 분야'의 전문가다. 운영진으로 활동한지 4년 여 간 셀 수도 없을 만큼 전국의 많은 흉가와 폐가를
방문하고 영가를 목격했다.

유령사냥꾼이 이번에 헌팅한 장소는 모텔로 짓다 만 2층 건물.
깊은 산 속에 자리한 이곳은20여 년 전 이 건물 앞에 흐르는 계곡에서
물놀이를 하다 급류에 휩쓸려 숨진 영가들이 모여 있다고 했다.

그는 체험을 시작하기 전 체험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당부를 했다
그렇지 않으면 영가가 따라붙을 위험성이 높다.

체험자들은 만약의 사태를 대비해 남자1명, 여자1명이 짝지어 들어간다.
불과 1시간 전 처음 만났지만 영가를 직접 볼 수 있다는 설렘(?)과
약간의 두려움으로 하나가 된 두 사람은
우산 하나를 든 채 나란히 흉가로 들어섰다.

▲"갑자기 생긴 두통…어깨가 무거운 듯"

한치 앞도 보이지 않는 어둠과 쏟아지는 비를 뚫고 내부로 들어간 지 약 20여분 후.
스타트를 끊은 체험자 두 사람 중 여성 회원은 상기된 얼굴이었다.

"진짜 봤냐", "어땠냐" 등 쏟아지는 질문에 그녀는
"목도하지는 못했지만 이상하게 뒷골이 당긴다."
연신 머리를 두드려댔다.

앞서 답사 차 이곳을 먼저 방문한 한 운영자는
"함께 왔던 퇴마사와 무당들의 말에 따르면,
 
이곳에는 사고 당시 급류에 휩쓸리면서 신체가 절단된 영가들이 몰려있다.
이 때문인지 답사 내내 아무것도 없는 바닥에서 자꾸 무엇인가에 걸려
넘어지는 일이 많았고,
또 다른 운영자는 하반신만 서 있는 검은 물체를 보기도 했다."고
경험담을 늘어놓았다.

2시간 여 후, 체험단 4팀의 체험이 무사히 끝났다.
이들은 '보고 싶었던 것을 보지 못한' 아쉬움과 처음 경험해보는
낯선 두려움에 심취한 듯 한동안 입을 열지 않았다.

▲"호기심엔 장사 없다…공포영화보다 짜릿해"

체험자 중 일부는 구토나 두통 등 단순 빙의증상을 보이거나
체험 후 끊임없는 악몽에 시달리기도 한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소름끼치는 위험이 도사리는 흉가체험.
도대체 사람들은 왜 귀신을 보고 싶어하며,
스스로를 공포로 내모는 것일까.

첫 체험을 마친 아이디 묵향(남, 31)은 가장 유력한 이유로 호기심을 꼽았다.
그는 "사람들이 쉽게 경험하지 못하는 느낌을 느껴보고자 하는 호기심 때문에
이런 모임에 참가하는 것 같다."면서
"놀이기구나 공포영화에서 느낄 수 없는 짜릿함도 느낄 수 있어서."라고 말했다.

또 다른 참가자인 아이디 잿빛소울(여, 24)도 "실제로 귀신이 있는지,
있다면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직접 보고 싶어서 나오게 됐다."고
동기를 밝혔다.

이날 참가자들 대부분의 공통점은 평소 귀신의 존재를 믿지 않는다는 것.
그렇기 때문에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픈 호기심으로 똘똘 뭉쳐 있었다.

여전히 비가 쏟아지는 새벽 3시가 넘어서야 이들은 집으로 돌아가는 차에 몸을 실었다. 상당수는 "이번엔 보지 못했으니, 다음에 꼭 다시 체험에 참가해 (영가를)
만나고 말겠다."고 후일을 기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