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 川の流れのように(흐르는 강물처럼) 03) 釜山港へ歸れ(돌아와요 부산하에) 04) 悲しい酒(슬픈 술) 05) みだれ髮(흐트러진 머리) 06) 裏町酒場(뒷골목[우라마찌]술집) 07) 大阪しぐれ(오오사카 가을비) 08) 北國の春(북극의 봄) 09) 眞珠の淚(진주의 눈물) 10) 終着驛(종착역) 11) 미소라 히바리 히트곡 메들리 이러한 점을 어느 일본인 학자는 일본의 어느 방면이든지 정상에는 항상 재일 한국인이 있다고 했다. 그 예로, 재계에는 롯데의 신격호 회장, 레스링계 역도산, 프로 야구계에 장훈, 김정일, 카라테의 최영의, 골프계의 유명한 아오키(靑木)이며, 특히 스포츠 및 연예계에는 한국인의 핏줄을 받은 이들 중 일부는 출신을 비밀로 하기도 한다는데, 아마도 차별로 인해 정관계(政官界)로 진출 못하는 한(恨)을 노래나 스포츠로 발산 한 것 같다. 이에 한국계 엔카(演歌) 가수이며 일본의 국민 가수인 ![]() 엔카는 일본에서 대중가요를 대표하는 것 중의 하나 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일본에서는, 젊은층의 노래에 밀려 인기 차트 이에 비하여 일반 대중에 있어서 엔카는 아직도 카라오케 주점이나 그 예로 연말이 되면 연말 가요 결산 방송인 ‘가요 홍백전’이 방송 되는데 일본 민요와 다른 점이 ‘라-시-도-미-파-라’ 로 구성 되어 있어 한국의 트롯 가수들이나 작곡가들은 다르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일부에서 일본 엔카와 한국의 트롯이 정서적인 면에서 비슷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문화적으로 동양권에 해당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서양 문물의 전달로 인한 사회적 분위기 때문이라고 한다. 가사 내용이, 일본 근대기에 공업의 발달로 농촌 사회에서 도시 사회로 전환 하는 과정에서 농어촌의 고향을 떠나 도시에서 타향살이 하는 이들의 고향에 대한 향수, 사랑과 이별, 인생, 외로움과 술에 대한 노래, 항구 등의 정서를 대변하는 형태를 담고 있어 그것이 ‘엔카’ 라는 장르로 만들어 졌다고한다. 주로 고향에 대한 향수를 노래한 대표 곡들로, ‘북쪽 고향의 여인(北國의 女)’ ‘북쪽의 고향의 구석진 술집에서는 여인이 날 위해 기다린다’, ‘눈 내리는 아름다운 고향에 가고 싶다’ 등의 가사 내용을 담은 엔카는 타향에서 사는 일본 최고의 엔카 가수 ‘미소라 히바리(美空 ひばり의 본명은, 그녀는 1938년에 아버지(김해 출신) 가토 마스키츠(加藤 增吉)와 몇 편의 영화 출연과 함께 40년을 엔카와 함께 한 가수이다. 죽지 않는 ‘불사조’ 라는 별칭을 얻었다고 한다. ![]() 일부에서는 미소라 히바리의 출신에 대해 여러 가지 말이 많았다고 한다. 유명 엔카 가수가 한국계라는 것이 공공연한 미소라의 한국 공연을 추진한 스즈키 마사부미(鈴木 正文)씨는, ![]() 미소라 히바리가 한국계라는것은 유명한 사실로 아버지가 김해출신이라고 합니다 항상 아쉬워햇고 일본어로 검토했을 정도였답니다 그녀는 자신이 한국출신임을 밝힐수 있엇음니다 최대의 찬사와함께 <국만영예상> 을 받을만큼 전국민적 또.그녀는 단 한번도 해외공연을 해본 적이 없었다고 한다. 한국이어야 한다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고 한다. 그녀는 소원을 이루지 못하고 눈을 감았다. ![]() 그녀는 죽기 2년 전인 1987년에 대퇴골골두양사(大腿骨骨頭壤死)라는 병으로 후쿠오카 재생병원(福岡再生病院)에 입원하였고, 51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흐트러진 머리(みだれ 髮)’ 는 또바기 블로그에 처음 소개되는 일본곡입니다. |
'[음악 (15)] > ˚♡。칸쵸네·샹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Bu 라틴 음악 (0) | 2010.08.11 |
---|---|
Nana Mouskouri (0) | 2010.07.14 |
잉카음악 연주곡 모음 (0) | 2010.07.04 |
"알폰소 10세 엘 사비오//카스티야와 라 만챠의 칸티가 - 에두아르도 파니 (0) | 2010.06.30 |
Haris Alexiou - Patoma (비가 내리네) (0) | 2010.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