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d love you to want me / Lobo
로보(LOBO) 1943년 7월 31일 미국 플로리다 출생. Lobo.. 그는 서정성 짙은 발라드로 70년대 국내 팝송 팬을
사로잡았던 가수로, C.C.R, Carpenters, John Denver 등과 함께 '팝송의 시대' 한복판에 서있었던 추억의
인물이다. 당시 김세환은 그의 노래 'Stoney'를 개사해 불렀고, 윤항기도 그의 'We`ll be one by two together'를
'우리 함께 간다네'라는 제목으로 번안해 노래했다. 이밖에도 국내에서 사랑받는 그의 곡들은 엄청나게
많다. '날 원해주었으면(I`d love you to want me)', '평범한 남자(A simple man)', '길이 없어(There ain`t
no way)'등이 70년대 말까지 줄기차게 애청되었다. 뒤에 나온 곡들인 '어찌 그녀에게 말하리(How can I
tell her)'와 '내게 좋은 밤이라 말하지 마오 (Don`t tell me good night)'도 다운타운가를 강타했었다.
이처럼 국내에서 우대 받았던 Lobo는, 정작 본고장 미국에서는 큰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그가 부른 노래 가운데
빌보드 싱글 차트 10위권에 올랐던 노래는 3곡에 불과했다. '스토니'같은 곡은 싱글로도 발표되지 않아서
미국인들에게는 제목조차 잘 알려지지 않은 노래이기도 하다. 1981년 첫 앨범 "Sun Of Jamaica" 의 "Sun
Of Jamaica"가 세계적으로 힛트함으로써 단번에 인기 그룹으로 부상했다. 단조로운 선율과 잘 조화된 보컬,
원시적인 형태의 레게에 유로팝이 접목된 이들의 사운드, 목가적이면서도 지극히 전원적인 가사들은
도시지향적 소리들에 익숙한 팝팬들과 고향을 그리워하는 현대인들의 사랑을 받기에 충분했다.
얼마 전 앨범 홍보차 내한한 Lobo 자신도 “내 노래가 한국에서 그렇게 인기를 끌었는지 전혀 몰랐다”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그의 '숨겨진' 노래를 발굴해 국내 애청 팝송으로 만든 주역은 당시의 라디오와 다운타운가
음악 다방의 디스크 자키들이었다. 그들은 알려진 곡이든 묻혀 있는 곡이든 '우리정서'에 맞는 노래들을
뒤져내 전파하는 일에 적극적이었다. 디제이들의 노력으로 우리의 '듣는 귀' 이른바 음악 청취의 패턴이
확립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당시 국내 팬들은 언제나 감미로운 선율 중심의 노래를 좋아했다.
Lobo의 국내 애창곡은 바로 이에 대한 산 증거이다. 지금은 리퀘스트의 대열에서 좀 물러 났다고는 하지만
70년대 정서의 실체를 밝혀주었다는 점에서 그의 노래가 갖는 의미가 퇴색했다고 할 수는 없음이다.
Lobo(본명은 켄트 라보에다)는 1943년 미국 플로리다주 탈라하시에서 태어났다. Lobo는
스페인어로 늑대라는 뜻이랍니다. 미국 사람 같지 않은 얼굴과 긴 생머리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듯이, 인디언 혈통을 지닌 인물이기도 합니다. - 웹 출처 -
I'd love you to want me
When I saw you standing there
I about fell out my chair
And when you moved your mouth to speak
I felt the blood go to my feet
당신이 거기에 서있는걸 보았을때,
난 의자에서 넘어질 뻔 했어요
당신이 입을 움직여 무엇인가 말을 하려고 할때,
난 피가 발로 거꾸로 흐르는걸 느꼈지요
Now it took time for me to know
What you tried so not to show
Something in my soul just cries
I see the want in your blue eyes
당신이 보여주지 않으려고 애쓴 것들이 무엇이었는지
오랜 시간이 흐르고 나서야 알게 되었어요
내 가슴속 무언가가 애닯아 서글퍼 하고 있을 뿐이었어요
난 당신의 우울한 눈빛에서 허전함을 볼 수 있어요
Baby, I'd love you to want me
The way that I want you
the way that it shoud be
그대여, 난 당신이 날 원했으면 좋겠어요
내가 당신을 원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당연히 그렇게 되어야만 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Baby, you'd love me to want you
The way that I want to
If you'd only let it be
그대여, 당신이 내가 당신을 원하도록 바라면 좋겠어요
내가 원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당신이 그렇게 허락만 해준다면...
You told yourself years ago
You'd never let your feelings show
The obligation that you made
For the title that they gave
몇해전, 당신은 감정이
드러나지 않기를 당신 스스로 다짐했었지요
흔히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규약에 당신도
그렇게 해야 한다고 만든 스스로의 의무감이었어요
Baby, I'd love you to want me
The way that I want you
the way that it shoud be
그대여, 난 당신이 날 원했으면 좋겠어요
내가 당신을 원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당연히 그렇게 되어야만 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Baby, you'd love me to want you
The way that I want to
If you'd only let it be
그대여, 당신이 내가 당신을 원하도록 바라면 좋겠어요
내가 원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당신이 그렇게 허락만 해준다면...
Now it took time for me to know
What you tried so not to show
Something in my soul just cries
I see the want in your blue eyes
당신이 보여주지 않으려고 애쓴 것들이 무엇이었는지
오랜 시간이 흐르고 나서야 알게되었어요
내 가슴속 무언가가 애닯아 서글퍼 하고 있을 뿐이었어요
난 당신의 우울한 눈빛에서 허전함을 볼 수 있어요
Baby, I'd love you to want me
The way that I want you
the way that it shoud be
그대여, 난 당신이 날 원했으면 좋겠어요
내가 당신을 원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당연히 그렇게 되어야만 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Baby, you'd love me to want you
The way that I want to
If you'd only let it be
그대여, 당신이 내가 당신을 원하도록 바라면 좋겠어요
내가 원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당신이 그렇게 허락만 해준다면...
Baby, I'd love you to want me
The way that I want you
the way that it shoud be
그대여, 난 당신이 날 원했으면 좋겠어요
내가 당신을 원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당연히 그렇게 되어야만 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Baby, you'd love me to want you
The way that I want to
If you'd only let it be
그대여, 당신이 내가 당신을 원하도록 바라면 좋겠어요
내가 원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당신이 그렇게 허락만 해준다면...
| |
끝맺음이 아름다운 인연 / 박현희
우리는 살아가는 동안에
수없이 많은 사람과 인연을 맺기도 하고
때로는 잊히기도 합니다.
시작이 좋은 인연이기보다는
끝맺음이 좋고 아름다운 인연으로
머물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한결같겠지요.
시작보다는 끝맺음이 아름다운 인연으로
간직되길 원한다면
먼저 마음의 문을 열고 다가가는
노력 또한 게을리하지 말아야겠지요.
따스한 사랑의 마음을 지닌 당신이라면
누구도 이해하지 못할 일과
용서하지 못할 일은 하나도 없습니다.
약간 부족한 듯 모자란 듯해도
조금은 너그럽고 여유 있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당신은 아름다운 사람이며
세상 속에서 빛과 소금처럼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 좋은 글, 행복한 마음 *♡
가장 소중한 사람이 있다는 건
"행복" 입니다.
나의 빈자리가 당신으로 채워지길 기도하는 것은
"아름다움" 입니다.
다른 사람이 아닌 당신을 기다리는 것은
"즐거움" 입니다.
라일락의 향기와 같은 당신의 향을 찾는 것은
"그리움" 입니다.
마음속 깊이 당신을 그리는 것은
"간절함" 입니다.
바라볼수록 당신이 더 생각나는 것은
"설레임" 입니다.
사랑한다는 말 한 마디 보다 말하지 않아
더 빛나는 것이 "믿음" 입니다.
아무런 말하지 않아도 당신과 함께 있고 싶은 것이
"편안함" 입니다.
자신보다 당신을 더 이해하고 싶은 것이
"배려" 입니다.
차가운 겨울이 와도 춥지 않은 것은 당신의
"따뜻함" 입니다.
카나리아 같은 목소리로 당신 이름 부르고 싶은 것이
"보고 싶은 마음" 입니다.
타인이 아닌 내가 당신 곁에 자리하고 싶은 것은
"바램" 입니다.
파아란 하늘과 구름처럼 당신과 하나가 되고 싶음은
"존중" 입니다
하얀 종이 위에 쓰고 싶은 말은
"사랑" 입니다.
【 좋은 글 中 에서 】
| |
진정 우리가 미워해야 할 사람이 이 세상에 흔한 것은 아니다.
원수는 맞은편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정작 내 마음속에 있을 때가
더 많기 때문이다. [알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