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연예·종합](15)/˚♡。─-빙상관련

[참고] 피겨스케이팅이란?

또바기1957 2014. 2. 20. 22:41

피겨스케이팅이란?

 

 

 

① 피겨스케이팅의 어원

 

'Figure Skating'은 단어 그대로

도형을 그리며 스케이트를 탄다는 뜻입니다.

 

초기의 피겨스케이팅은 기계적으로 얼음 위에 오차없이

블레이드(스케이트 날)로 일정한 도형을 그리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피겨스케이팅이 최초로 시작된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더먼, 1660년대에 스케이팅을 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으며

최초의 피겨스케이팅 클럽이 1742년 영국에서 설립되었다는 것 밖에

알려진 점이 없습니다.

 

그리고 1990년 세계스케이팅 연맹 (ISU : International Skating Union)의 결정으로

정해진 도형만을 그리던 컴퍼서리 (Compulsory - School Figure)요소의 제외로

현재와 같은 피겨스케이팅의 형식이 완성되었습니다.

  

피겨스케이팅 대회의 역사

 

① 동계올림픽

 

 

올림픽 피겨스케이팅은 1908년과 2920년에는 하계 올림픽과 함께 열렸으나

1924년부터 동계 올림픽 종목에 포함되었습니다.

하계올림픽과 2년 차이로 4년에 한번씩 열리는 동계스포츠의 축제로서

2010년 캐나다  벤쿠버의 동계올림픽에서

김연아선수가 여자 쇼트, 프리, 총점 세 부문 전부

경이적인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습니다.

 

② 세계선수권 대회

 

 

세계선수권대회는 해마다 3월 중순에서 말 사이에 열리는 대회입니다.

각 나라에서 선발된 전 세계의 선수들이 모여 경기를 펼치는데

피겨스케이팅 기준으로 거의 시즌 마지막 대회이기 때문에

선수들의 연기가 가장 향상된 모습을 보이곤 합니다.

 

③ 그랑프리 시리즈

 

 

그랑프리 대회는 본격적인 시즌 개막을 알리는 경기입니다.

본래 각 나라별로 열리던 경기였으나, ISU의 주관으로 연계되어

시리즈로 열리게 되었습니다.

 

1995년부터 미국, 캐나다, 독일, 일본 4개국의 대회가 묶여서 열렸으며

이루 1996년 러시아, 2003년 부터는 독일 대신 중국이 들어가서

현재 미국, 캐나다, 러시아, 프랑스, 중국, 일본에서

개최되는 형식으로 정착되었습니다.

 

매 해 10월 중순에 첫 대회가 개막되며, 약 1주일 간격으로 진행되는 그랑프리 시리즈는

각 개최국가에서 선수들에게 초청장을 보내어

종목당 최대 12명의 선수를 초대합니다.

여기서 직전 시즌 세계선수권 1,2,3위 선수는 서로 겹치지 않게 배정되며,

4,5,6위도 마찬가직 배정됩니다.

 

11월 중순이나 말 경에는 그랑프리 파이널이 개최됩니다.

6개의 그랑프리 대회에서 가장 뛰어난 성적을 거둔

6명의 선수만이 출전 자격을 얻습니다.

 

1995년부터 챔피언시리즈 파이널이라는 이름으로,

그리고 1998년 그랑프리 파이널이라는 현재와 같은 이름으로 개최되었습니다.

 

그해의 시리즈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선수들만의 잔치이기 때문에

세계선수권에 비해 중요하진 않지만

쟁장한 선수들이 총 출동하는 대회입니다.

 

④ 유럽 선수권 & 4대륙 선수권

 

유럽선수권은 유럽선수들이 참가하는 대회입니다. 1891년에 시작되어

매년 1월 중순에 열리며, 세계선수권보다 더 오랜 역사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4대륙 선수권은 유럽선수권과 유사한 성격의 대회로

1999년부터 시작된 대회입니다.

4대륙선수권은 유럽을 제외한 대륙의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습니다.

 

 

역대 피겨스케이팅 국가별 성적

 

(출처 : wikipedia)

 

① 동계 올림픽

 

 

② 그랑프리 파이널

 

 

이렇게 여러 나라의 이름에

당당히 자리잡은 대한민국이 보이시나요?

바로 우리 김연아선수의 대단한 활약이 만든 결과입니다!